심리학 이란
1. 심리학 이란
심리학(psychology)을 수강하는 대학생들에게 심리학을 신청한 이유를 물으면 흔히 '심리학을 공부하면 상대방의 마음을 잘 알 수 있을 것 같아서, 상대방이 어떤 행동을 할 때 왜 그러한 행동을 하는지 알고 싶어서, 연애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원만한 대인관계를 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아서...' 등과 같은 대답을 많이 한다. 그렇다면 과연 심리학이란 학문이 학생들의 이러한 기대를 충족시켜 줄 수 있을까?
심리학의 어원을 보면 그리스어의 마음(psyche)과 과학 법칙(logos)의 합성어이다. 그래서 심리학을 사이기(psyche)의 학문, 즉 '마음의 학문'이라고도 하지만 심리학을 마음의 학문이라고 정의하기는 어렵다. 심리학의 연구 대상으로 삼는 '마음'이라는 것은 다의적인 동시에 다차원적이기 때문에 마음의 어떤 측면, 어떤 차원을 대상으로 삼는가에 대해서 시대적으로도 입장과 학파에 따라 차이가 있고 각 학파나 시대에서 제기하는 정의 또한 다양하다(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심리학 역사의 초창기로 거슬러 올라가 보면 W. James(1890)는 심리학을 '정신생활에 관한 과학으로 그 현상(감정, 욕망, 인지, 사고, 의사결정 등)과 조건 모두에 관한 과학'이라고 정의하였으며, J Watson(1919)은 심리학을 '인간 행동을 주제로 삼는 자연과학의 일부'라고 한 바 있다. 현대 심리학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다. R. Mayer(1981)는 심리학을 '인간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인간의 정신 과정과 기억 구조를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C. Morgan(1981)도 '인간과 동물의 행동을 연구하는 과학이며 이러한 순수한 연구 측면 외에 인간의 문제해결을 위해 과학적 연구 결과를 응용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하였다. 김현택 등(2005)은 심리학을 '인간과 동물의 행동 및 그 행동에 관련된 생리적 · 심리적 · 사회적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서 개인의 심리적 과정뿐 아니라 신체기능을 제어하는 생리적 과정, 개인 간 관계와 사회적 과정까지 연구 대상으로 한다'고 하였다.
이상의 정의들을 종합해 볼 때 심리학을 '인간의 행동과 정신 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하는 것에 대해 큰 이견은 없는 듯하다. 심리학자들은 인간의 행동을 기술하고, 설명하고, 예측하고, 통제하기를 원한다. 즉, 과학적 연구 결과로 얻은 지식을 토대로 인간의 행동과 정신 현상에 대한 법칙과 원리를 구성하고 이를 인간 행동을 이해하는 데 이용한다. 인간 이해와 관련하여 우리가 이제까지 상식으로 알아 왔던 것들이 잘못 알려진 경우가 의외로 많다. 심리학적 지식은 상식에 기초한 것이 아니라 인간에 대한 과학적 연구 방법과 증거를 통해 도출된 것이기 때문에 상식이나 개인적인 경험에 의존한 판단보다 정확하고 과학적 통찰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심리학적 지식은 생활 전반에 걸쳐 발생하는 문제들을 광범위하게 다룸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거나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2. 심리학의 발전 과정
현대 심리학은 철학적 배경과 자연과학적 배경을 토대로 발전해 왔다. 19세기 이전의 심리학은 하나의 독립된 학문이라기보다 철학의 한 부분으로서 관념적 · 사변적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과학적인 학문으로서의 심리학은 19세기 중엽 물리적 속성을 측정하는 실험 방법을 심리학에 도입하여 의식을 과학적 방법으로 연구한 데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1) 과학적 학문 이전의 심리학
심리학은 영혼(soul)에 대한 탐구에서 시작되었다. 고대 그리스시대부터 중세기까지는 주로 철학적 접근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마음(psyche)을 구성하는 실체는 무엇인가에 초점을 맞추어 마음의 실체를 영혼이라고 부르고 영혼에 대한 사변적 · 형이상학적 탐구와 추론이 주를 이루는 이른바 영혼 심리학이었다.
Hippocrates는 정신 과정, 정신병, 체액 등에 관해 연구하면서 영혼은 신체와 관련된다는 심신 상관론을 주장하였으며 체액에 따라 성격 특성을 분류한 네 가지 기질론(다혈질, 황담즙 질, 흑담즙 질, 점액질)은 이후 성격 연구에 영향을 주었다. Plato는 영혼과 신체가 별개로 존재한다는 심신이원론(心身二元論)을 주장하였는데 영혼은 정신적 실체로서 이러한 관념의 세계에는 고귀한 이성이 자리하고 있으며, 신체에 속하는 현상(사물)의 세계에는 저속한 의지와 정욕이 자리하고 있다고 하였다. Aristotle은 마음을 유기체의 기능으로 보는 심신일원론(心身一元論)을 주장하였는데 신체에 생명이 있게 하는 것이 바로 영혼이며 이 영혼을 마음이라고 하였다. 중세 시대에는 종교적 · 윤리적 가치가 주 관심 대상으로 인간 이해를 위한 주목할 만한 접근은 시도되지 않았다.
르네상스 시대에 이르러 인간에 대한 종교적 · 형이상학적 접근으로부터 경험적 접근으로의 시도가 이루어지면서 철학적으로부터 보다 과학적인 심리학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게 되었고, 근세 이후 경험적 입장을 취하게 되면서 마음의 경험적 측면인 '의식(consciousness)'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고 이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면서 의식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의식심리학이 대세를 이루게 되었다.
즉, 17~18세기에 이르러 영국에는 경험주의를 신봉하는 Locke, Mill, Spencer 등이 심리학을 보다 경험적으로 고찰하려 시도 함으로써 철학에서 독립한 경험적 심리학이 탄생하게 되었다. 또한 자연과학의 발달과 함께 Helmhotz, Miller, Weber 등의 물리학자와 생리학자가 물적 현상을 관찰하면서 외계의 자극과 그것을 감수하는 감각과의 관계, 그리고 양자를 중개하는 생리 과정과의 관계 등에 대해서 관찰의 손을 뻗쳐 자연과학에서 하는 실험법을 적용했고, Fechner가 그 업적 등을 묶어 「정신물리학 요소(Elements of Pshchophysics, 1860)」를 저작하기에 이르자 심리학도 자연과학과 마찬가지로 실증적 과학이 될 가능성이 시사되었다(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본주의 (0) | 2022.07.04 |
---|---|
정신분석(프로이트) (0) | 2022.07.04 |
행동주의 (0) | 2022.07.03 |
과학적 심리학 (0) | 2022.07.03 |
심리학의 본질을 말하기에 앞서. (0) | 2022.06.30 |